목록Python (6)
T-coding

나동빈 님의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 책을 보고 참고하여 작성한 글입니다. 내장 함수 # sum() 함수 result = sum(1, 2, 3, 4, 5]) print(result) # 15 # min() 함수 result = min(7, 3, 5, 2) print(result) # 2 # max() 함수 result = max(7, 3, 5, 2) print(result) # 7 # sorted() 함수 result = sorted([9, 1, 8, 5, 4]) # 오름차순 정렬 print(result) # 1 4 5 8 9 result = sorted([9, 1, 8, 5, 4], reverse = True) # 내림차순 정렬 print(result) # 9 8 5 4 1 r..

나동빈 님의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 책을 보고 참고하여 작성한 글입니다. 입력 # 입력을 위한 전형적인 소스 코드 5 65 90 75 34 99 n = int(input()) data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#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적은 수의 데이터 입력 3 5 7 n, m, k = map(int, input().split()) # 입력을 최대한 빠르게 받는 방법 import sys sys.stdin.readline().rstrip() 출력 # 변수 출력 예시 a = 1 b = 2 print(a, b) # 변수를 문자열로 바꾸어 출력 answer = 7 print("정답은 " + str(answer) + "입니다.") # f-string..

나동빈 님의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 책을 보고 참고하여 작성한 글입니다. 함수 # 더하기 함수(return 존재) def add(a, b): return a + b print(add(3, 7)) # 더하기 함수(retunr 미존재) def add(a, b): print('함수의 결과:', a + b) add(3, 7) # 함수에 인자를 넘겨주는 방법 def add(a, b): print('함수의 결과:', a + b) add(b = 3, a = 7) # global 키워드를 사용한 함수 바깥 변수 참조 a = 0 def func(): global a a += 1 for i in range(10): func() print(a) # 10 # 람다식 표현식으로 구현한 add() 메서..

나동빈 님의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 책을 보고 참고하여 작성한 글입니다. while문 i = 1 result = 0 # 1부터 9까지의 합 구하기 while i= 80: print(i + 1, "번 학생은 합격입니다.") # 반복문 중첩 사용 for i in range(2, 10): for j in range(1, 10): print(i, "X", j, "=", i * j) print()

나동빈 님의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 책을 보고 참고하여 작성한 글입니다. 조건문 if 조건문 1: 조건문 1이 True일 때 실행되는 코드 elif 조건문 2: 조건문 1에 해당하지 않고, 조건문 2가 True일 때 실행되는 코드 else: 위의 모든 조건문이 모두 True 값이 아닐 때 실행되는 코드 비교 연산자 비교 연산자 설명 X == Y X와 Y가 서로 같을 때 참이다. X != Y X와 Y가 서로 다를 때 참이다. X > Y X가 Y가 보다 클 때 참이다. X = Y X가 Y가 보다 크거나 같을 때 참이다. X = 80: pass else: print('성적이 80점 미만입니다.') # 한 줄에 조건문 작성 if score ..

나동빈 님의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 책을 보고 참고하여 작성한 글입니다. 수 자료형 정수형 # 양의 정수 a = 1000 # 음의 정수 a = -7 # 0 a = 0 실수형 # 양의 실수 a = 157.93 # 음의 실수 a = -1837.2 # 소수부가 0일 때 0을 생략 a = 5. # 정수부가 0일 때 0을 생략 a = -.7 # 10억의 지수 표현 방식 a = 1e9 # 752.5 a = 75.25e1 # 3.954 a = 3954e-3 # 0.899999999999999999 a = 0.3 + 0.6 # 0.9 a = round(0.3 + 0.6, 4) 수 자료형의 연산 a = 7 b = 3 # 나누기(2.333333333333) 기본적으로 실수형 a / b # 나머지..